금과 은을 올해 초부터 매주 꾸준히 매수중이고, 현재 금과 은 모두 10~15% 정도의 수익 중. 언제 팔아야 하는가 점검(20230501) 1. 실질금리(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 2022년 중반쯤에 최저점을 찍고 빠르게 회복중. 아직까지는 실질금리 마이너스. - CPI가 빠르게 하락중이니 올해 안에 플러스로 전환 예상. 2. 생산량 : 거의 비슷함. 대동소이함. 3. 주식 버블 붕괴 : 버블이 붕괴됐다고 봐야하나... S&P500지수가 2022년1월 정점을 찍고 하락하고 있으니 수퍼사이클 진입? 4. 금 대비 화폐 비율 : M2가 2022년 하반기부터 빠르게 하락중. 올해도 지속적으로 하락중. 결론 : 모르겠음 1번 4번은 금가격의 하락요인.(4번은 상승반전될 수 있음) 현재 각 나라에서 달러를 팔..
달러환율이 1300원을 넘어서면서부터 매입하기 시작했다. 평균단가는 1315원정도 됐던것같고, 환율이 1270원정도 왔을때 전량 매도했다. 보유기간은 5달정도였다. 보유기간동안 환율이 계속 올라서 불안하기도 했다.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달러인덱스가 하향추세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꾸준히 들고 갔다. 다행히 다시 1300원 밑으로 하락하였고, 애초에 단타로 접근한 것이기 때문에 큰욕심 부리지 않고 수익률 5% 수준에서 수익실현하였다. 2023.02.20 - [금융 경제/단타 매매기록] - 매매중 - 미국달러 인버스 단타
매수시작일 : 20230310 어제자 코스피의 PBR이 0.91배이고, 오늘 1%정도 하락 중이다. 그럼 0.9배 정도 되려나? 장단기금리차가 역전이 됐다가 2월말경부터 다시 장기금리가 더 높아졌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3월에 저점을 보이고 4월부터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익교수님도 4~5월경에 코스피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신다. 시간의 문제이지 3000포인트까지는 갈거라고 하신다. 한 사람만의 말을 맹신하면 안되지만!!! 데이터 근거를 가지고 말씀하시니... 자꾸 믿음이 가네 코스피지수 월봉 상으로는 60선과 120일선 사이에 위치해 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아주 좋은 차트이지만 단기로 들어가기엔 확신이 서지 않는다.일봉을 보면 아직 좀 더 떨어져야 할것 같은 차트이다. 장기적으로 주가..
매수종목 : 메리츠 3X 레버리지 국채10년 ETN 매수시작일 : 2023.3.22. 투자 아이디어 -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거의 막바지 국면에 다다른 것 같다. - 시장금리는 먼저 반응해서 국채금리가 내려가고 있다. - 국채금리가 내려가면 (기존)채권가격은 오른다. -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경기침체의 신호가 조금씩 나오고 있고, 그렇다면 기준금리를 내리기 시작할 것이다. 기준금리가 언제부터 내려갈진 모르지만 내려가는거는 거의 확실한 것 같다.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2022년 10월 21일에 4.532로 최고치를 찍고 계속 내려오고 있다. 어제자가 3.034%이다. - 국채금리가 고점 대비 꽤 많이 떨어지긴 하였지만 어쨋든 더 떨어질 것이다. 미쳤다. 레버리지 3배짜리 투자다. 이렇게 하면 안되..
최초매수일 : 20230203 김영익교수님 말씀으로 현재 미국S&P지수는 약 13% 과대평가 미국 가계의 저축률이 많이 낮아졌고, 자산가격 하락, 물가상승, 금리인상 등으로 가처분소득 빠르게 감소중. 최근 통화긴축정책으로 마샬케이 하락중인데 S&P500과 상관계수가 0.89로 매우 높음 고용률이 견고하지만 경기침체의 우려가 더 큼. 단기적으로도 좀 오른거같아서 단기하락 예상하고 매수하였다. 목표수익률은 5~10%, 주식은 그래도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니 큰 수익은 바라지 말자. 매도일 : 20230228 목표수익률에 도달하지는 않았지만 매수한지 한달이 지났고 길게 가져가봐야 신경만 쓰일 것 같아서 조금의 수익을 보고 매도하였다. 현재 미국의 상황은 1월 고용지표가 생각보다 좋게 나와서 노랜딩이란 말이 나올..
종목명 : KODEX WTI원유선물인버스ETF 매수일 : 20230116 매도일 : 20230223 장단기금리차가 역전되는등 경기침체가 예상되어 급등한 물가가 서서히 안정되고 있다. 한때 120달러까지 갔던 유가도 70달러까지 내려가고 있는데 1월에 반등해서 80달러까지 올라왔다. 추세가 꺾인게 아니라 기술적 반등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원유인버스에 베팅을 해보았다. 한달만에 다시 70달러 초반까지 내려왔고, 길게 가져갈 생각은 없어서 오늘 매도했다.
매수종목 : KODEX미국달러선물인버스 ETF 매수시작일 : 20230220 환율이 1227원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다시 1300원으로 진입했다. 환율 상승과 하락의 전망이 상존하지만, 모든 자산은 장기적으로는 평균선에 수렴한다는 가정하에 1200원까지는 내려갈 것이라는 단순한 생각으로 소량 매수하였다. 달러인덱스와의 격차가 벌어진 것도 매수결정에 영향을 주었다. 를 소량 매수하였다. 이 종목은 선물지수를 기초가격으로 하므로 장기로 투자하기에는 좋지 않다. 투자기간은 최대 6개월이고, 기대수익은 5~7%로 정한다. 주식을 보유하면 공부가 된다.
매수종목 : 삼성 인버스 구리 선물 etn(h) 매수시작일 : 20230105 나는 6개월 안으로 매도할 목적으로 매수하는 종목은 단타로 생각하고 거래한다. 김영익교수님 말씀에 의하면 장단기금리차가 코스피에 1개월 정도 선행하고 코스피가 구리가격에 1개월정도 선행한다고 한다 현재 장단기금리차가 역전이 됐고 코스피도 많이 떨어져 있고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한 세계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있으니 조만간 구리가격도 떨어질거란 예상으로 구리 인버스를 매수해보았다. 20230131 구리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 이유는 중국이 현재 코로나 리오프닝으로 수요 확대 기대감이 높아졌는데, 중국이 전세계 구리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란다. 중국이 이렇게 많이 구리를 소비하는줄 몰랐다. 코스피도 예상과 다르게 1월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