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디로 좋았다. 운이 많이 따라주었다.상반기에만 수익실현한 금액이 세전 기준으로 2900만원이다. 주식계좌에서 2600만원정도 수익실현을 하였고, ISA계좌에서 200만원정도 수익실현 하였다. 상반기에 배당도 120만원 정도 받았다. 대부분의 수익이 채권 투자에서 나왔다. 운이 좋았다.수익실현한 금액 2900만원 중 2200만원 정도가 채권 관련 ETF에서 나왔다. 운이 좋았던 만큼 항상 불안하다. 상반기에는 좋았지만 하반기에도 이렇게 수익실현 할 수 있다는 보장은 전혀 없다. 주식투자를 본격적으로 열심히 한 건 코로나가 터진 2020년부터이다.2020년에는 1700만원 수익실현하였고, 2021년에도 1700만원 수익실현,2022년에는 -400만원, 2023년에는 -200만원 손실실현하였다..
2024.01.19. 장기국채ETF를 전량 매도하였다. 이로써 야수의 심장으로 매수하였던 장기국채30년물 3배추종 ETN 투자는 절반의 성공으로 마침표를 찍었다. 작년 3월부터 분할매수를 시작하였고, 중간에 금리가 계속 올라 한때 수익률이 -30%까지 갈 때도 있었어서 마음고생도 좀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세후15%의 수익률을 달성하였다. 처음 매수를 시작할 때는 50% 수익실현이 목표였던지라 절반의 성공으로 결론내었다. 전량을 매도한 결정적인 계기는 내가 사랑하는 마경환 대부님의 장기국채 매도 의견이었다. 미국의 노동시장이 견고해서 1분기까지는 고용시장 지표가 좋게 나올거라고 예상하셨다. 하지만 향후 금리는 장기적으로 내릴 것으로 예상이 되므로 금리가 반등하는 시점이 온다면 적절한 때에 다시 장기국채를 매..
채권투자 핵심 노하우(마경환)정말로 채권에 있어서 수학의 정석과 같은 책이다. 내생각에 우리나라에서 채권에 관해서는 마경환님이 최고인 것 같다. 이 책은 한권 가지고 있으면 채권에 대해 궁금할 때 수시로 찾아볼 수 있는 교과서같은 책이다. 인플레이션 증가 → 구매력 감소 → 신규채권 발행금리 상승 → 기존채권 수요 감소 → 기존채권 가격 하락 경기상승 → 인플레이션 증가 → 기준금리 인상 → 시중금리 상승 → 채권가격 하락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1. 경제성장률 : 경제성장률이 높아도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2. 임금3. 실업률4. 원자재가격5. 환율 : 추세적인 자국통화 약세는 수입품의 가격상승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수입하는 효과6. 주택가격7. 소비자신뢰 경기상황..
장단기금리차(10y-3m)가 역전되면 경기침체가 왔다(단 한번의 예외없이) 장단기금리차가 역전된 후 평균 9.1개월 후부터 경기침체가 시작되었다.(표준편차 3.7개월) 이번에는 2022년 10월말경부터 장단기금리차 역전됨. 경기침체가 임박했을 때 장단기금리차의 역전현상이 풀린다.(장기금리보다 단기금리가 더 빨리 내리기때문에) 그리고 4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시작된다. 경기침체의 3가지 징조 1. 부동산 침체(고점대비 20%이상 하락) 2. 은행 파산 3. 실업률 증가(실업률은 후행지표이기 때문에 가장 늦게 온다) 주가의 바닥은 경기침체 한가운데에서 찍힌다(단 한번의 예외도 없었음) - 경기침체 종료 약 4개월 전에.. 초록선이 미국 주가 파 첫번째 금리 인하 개시(경기침체가 예상되니 금리 인하하기 시작함)..
매수종목 : 메리츠 3X 레버리지 국채10년 ETN 매수시작일 : 2023.3.22. 투자 아이디어 -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거의 막바지 국면에 다다른 것 같다. - 시장금리는 먼저 반응해서 국채금리가 내려가고 있다. - 국채금리가 내려가면 (기존)채권가격은 오른다. -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경기침체의 신호가 조금씩 나오고 있고, 그렇다면 기준금리를 내리기 시작할 것이다. 기준금리가 언제부터 내려갈진 모르지만 내려가는거는 거의 확실한 것 같다.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2022년 10월 21일에 4.532로 최고치를 찍고 계속 내려오고 있다. 어제자가 3.034%이다. - 국채금리가 고점 대비 꽤 많이 떨어지긴 하였지만 어쨋든 더 떨어질 것이다. 미쳤다. 레버리지 3배짜리 투자다. 이렇게 하면 안되..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