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년물 장기국채를 1배로 추종하는 ETF/ETN을 모아 비교해 보았다.국내 상장된 etf는 총 7종목이 있다. 파생상품은 가급적 하지 말아야겠다는 다짐으로, 실물자산을 편입하는 1배 추종 ETF만 비교해보았다.대부분 30년물을 편입하였고, 편입물의 개수는 조금씩 달랐다.거래량은 RISE ETF가 가장 많았고, 수수료는 히어로즈 ETF가 가장 낮았다.(대부분의 상품 수수료가 0.05인데 히어로즈는 최근 0.035로 가장 낮은 수준의 수수료를 책정하면서 최근 거래량도 많이 늘고 있다. 0.015%는 천만원을 투자할 경우 1,500원 차이이기 때문에 크지는 않다)듀레이션은 TIGER ETF가 다른 상품과 비교해서 큰 차이로 길었다.분배금은 RISE ETF만 지급하였고, 나머지 상품들은 모두 재투자하..
2024.01.19. 장기국채ETF를 전량 매도하였다. 이로써 야수의 심장으로 매수하였던 장기국채30년물 3배추종 ETN 투자는 절반의 성공으로 마침표를 찍었다. 작년 3월부터 분할매수를 시작하였고, 중간에 금리가 계속 올라 한때 수익률이 -30%까지 갈 때도 있었어서 마음고생도 좀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세후15%의 수익률을 달성하였다. 처음 매수를 시작할 때는 50% 수익실현이 목표였던지라 절반의 성공으로 결론내었다. 전량을 매도한 결정적인 계기는 내가 사랑하는 마경환 대부님의 장기국채 매도 의견이었다. 미국의 노동시장이 견고해서 1분기까지는 고용시장 지표가 좋게 나올거라고 예상하셨다. 하지만 향후 금리는 장기적으로 내릴 것으로 예상이 되므로 금리가 반등하는 시점이 온다면 적절한 때에 다시 장기국채를 매..
ISA계좌에 있던 국채ETF를 전량 매도하였다. 짧은 기간에 10%의 수익을 실현하기도 했고, 따져보니 ISA에서 국채ETF를 가지고있는게 실익이 없어보였다. ISA계좌에 대해 잘 모를 때 매수했던 종목이다. ISA계좌에서는 매도하였지만 채권에 대한 매수포지션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다른 계좌에는 채권ETF를 훨씬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 아직 팔 생각이 없다. 앞으로 ISA계좌에는 배당률이 높은 종목만을 담을 생각이다.
장단기금리차(10y-3m)가 역전되면 경기침체가 왔다(단 한번의 예외없이) 장단기금리차가 역전된 후 평균 9.1개월 후부터 경기침체가 시작되었다.(표준편차 3.7개월) 이번에는 2022년 10월말경부터 장단기금리차 역전됨. 경기침체가 임박했을 때 장단기금리차의 역전현상이 풀린다.(장기금리보다 단기금리가 더 빨리 내리기때문에) 그리고 4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시작된다. 경기침체의 3가지 징조 1. 부동산 침체(고점대비 20%이상 하락) 2. 은행 파산 3. 실업률 증가(실업률은 후행지표이기 때문에 가장 늦게 온다) 주가의 바닥은 경기침체 한가운데에서 찍힌다(단 한번의 예외도 없었음) - 경기침체 종료 약 4개월 전에.. 초록선이 미국 주가 파 첫번째 금리 인하 개시(경기침체가 예상되니 금리 인하하기 시작함)..
매수종목 : 메리츠 3X 레버리지 국채10년 ETN 매수시작일 : 2023.3.22. 투자 아이디어 -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거의 막바지 국면에 다다른 것 같다. - 시장금리는 먼저 반응해서 국채금리가 내려가고 있다. - 국채금리가 내려가면 (기존)채권가격은 오른다. -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경기침체의 신호가 조금씩 나오고 있고, 그렇다면 기준금리를 내리기 시작할 것이다. 기준금리가 언제부터 내려갈진 모르지만 내려가는거는 거의 확실한 것 같다.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2022년 10월 21일에 4.532로 최고치를 찍고 계속 내려오고 있다. 어제자가 3.034%이다. - 국채금리가 고점 대비 꽤 많이 떨어지긴 하였지만 어쨋든 더 떨어질 것이다. 미쳤다. 레버리지 3배짜리 투자다. 이렇게 하면 안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