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으로 주가는 그 나라의 명목GDP를 추종하거나 약간 상회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과거 GDP와 KOSPI의 상관관계를 그려보면 코스피지수가 gdp를 장기적으로 추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명목GDP와 실질GDP란? 김영익교수님이 KOSPI를 명목GDP로 회귀분석하여 추정한 적정코스피와 실제 코스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등락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같은 추세로 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명목GDP는 네이버에 '명목GDP'를 검색해도 쉽게 찾을 수 있고, https://kosis.kr/index/index.do 에서 검색하면 과거 gdp수치를 자세히 찾아볼 수 있다. 2022 명목GDP가 2161조이고 2023 예상 GDP 성장률을 1.3%, 예상물가상승률을 1.2%라고 가정하면, 우리나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