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I유가가 80달러를 돌파했을 때부터 인버스를 조금씩 매수했다. 매수기간은 3~4개월 정도이다. 매수기간 동안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해서 중간에 유가가 뛰었다. 다시 80달러 아래로 내려왔지만 정세가 어찌 될지 알 수 없어 욕심부리지 않고 매도하였다. 이번에도 정말 소액만 먹고 나왔다. 전쟁이 발발하지 않았으면 조금 더 들고있었을텐데 전쟁상황에 따라 유가가 급등할 가능성도 있어 위험성을 안고 가지 않기 위해 전량 매도하였다. (매도하고 나서 유가는 더 내려온 상황이다) 유가 기반 선물 ETF는 역시 오래 가지고 갈 종목은 아닌 듯 하다. 유가가 80달러일 때 사서 90달러로 올랐다가 다시 80달러로 떨어질 경우에도 수익률은 0%가 아니라 1~2% 정도 손실이 나는 듯 하다. 80달러일 때부터 분할..
저자 김승호는 스노우폭스 그룹의 회장으로 무일푼으로 시작해서 현재는 막대한 부를 이룬 사람이라고 한다. 책에는 저자가 부를 이루며 깨달아온 모든 것들을 담아냈다. 나는 이런 책이 참 좋다. 저자가 한평생을 살아오며 시행착오를 겪으며 느끼고 깨달은 수많은 교훈들이 책 한권에 녹아있다 . 몇십년의 인생 경험을 단 몇시간만에 간접적으로나마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예전에 읽었던 '세이노의 가르침'이 생각났다. '세이노의 가르침'의 순한 맛 버전이다. 나는 이 책이 더 마음에 든다. 저자의 마인드가 참 멋있다. 나도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이런 책을 한권 써내고 싶다. 부자가 되려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빨리 부자가 되려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빨리 부자가 되려는 욕심이 생기면 올바른 판단..
장기적으로 주가는 그 나라의 명목GDP를 추종하거나 약간 상회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과거 GDP와 KOSPI의 상관관계를 그려보면 코스피지수가 gdp를 장기적으로 추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명목GDP와 실질GDP란? 김영익교수님이 KOSPI를 명목GDP로 회귀분석하여 추정한 적정코스피와 실제 코스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등락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같은 추세로 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명목GDP는 네이버에 '명목GDP'를 검색해도 쉽게 찾을 수 있고, https://kosis.kr/index/index.do 에서 검색하면 과거 gdp수치를 자세히 찾아볼 수 있다. 2022 명목GDP가 2161조이고 2023 예상 GDP 성장률을 1.3%, 예상물가상승률을 1.2%라고 가정하면, 우리나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