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서는 사람을 세가지로 분류한다. 기버와 테이커 그리고 매쳐. 나는 블로그 아이디가 'generousgiver'일 정도로 기버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기버가 된다는건 다른말로 하면 '호구잡히기 쉬운' 사람이 된다는 말이기도 하다. 주기만 하다 보면 남에게 알게 모르게 당하기 쉽고, 그러다 보면 회의감도 들고 지치기 쉽다. 이 책에서는 기버의 삶을 살면서도 남에게 호구잡히지 않고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을 여러 사례와 함께 제시한다. 한마디로 기버들에게 용기를 북돋아주는 책이다. 테이커는 노력 이상의 이익이 돌아올 경우에만 전략적으로 남을 돕는다. 기버의 손익 개념은 그 방식이 전혀 다르다. 기버는 자신이 들이는 노력이나 비용보다 타인의 이익이 더 클 때 남을 돕는다. 심지어 노력이나 비용을 아까..
금과 은을 올해 초부터 매주 꾸준히 매수중이고, 현재 금과 은 모두 10~15% 정도의 수익 중. 언제 팔아야 하는가 점검(20230501) 1. 실질금리(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 2022년 중반쯤에 최저점을 찍고 빠르게 회복중. 아직까지는 실질금리 마이너스. - CPI가 빠르게 하락중이니 올해 안에 플러스로 전환 예상. 2. 생산량 : 거의 비슷함. 대동소이함. 3. 주식 버블 붕괴 : 버블이 붕괴됐다고 봐야하나... S&P500지수가 2022년1월 정점을 찍고 하락하고 있으니 수퍼사이클 진입? 4. 금 대비 화폐 비율 : M2가 2022년 하반기부터 빠르게 하락중. 올해도 지속적으로 하락중. 결론 : 모르겠음 1번 4번은 금가격의 하락요인.(4번은 상승반전될 수 있음) 현재 각 나라에서 달러를 팔..
책 제목이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이지만 돈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없다. 주식, 부동산, 채권을 망라하고 재테크 전반에 대해 현재 알아야 할 지식들이 들어있다. 이야기하듯 쓰여있어서 술술 읽히는 책이다.특히 8장 '홍쌤의 재테크 분투기' 부분이 재미있다. 그러나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금리'와 '주택공급'만이 아닙니다. 마지막 요소는 '절대가격'입니다. 부동산시장에 진입하기 좋은 첫 번째 징후는 낙찰률이 뚝뚝 떨어질 때입니다. 전국 주거용 부동산의 낙찰률이 70%대, 그리고 서울 지역 부동산의 낙찰률이 80%대 또는 그 이하로 떨어지면 시장에 패닉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부동산 낙찰률 조회방법 : https://www.courtauction.go.kr/ ->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