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하는 마음(추천함)

 

 추천받아 읽은 책인데 오랜만에 참 좋은 책을 한 권 읽었다. 홍진채라는 분이 쓴 책인데 다방면으로 굉장히 해박하고 주식에 대해 여러 이론으로 접근하며 분석하는 방식이 참 좋았다. 주식은 공부하면 할수록 참 어렵다. 오죽하면 이 책의 저자도 머리싸매며 주식을 분석하고 공부하는 데에 에너지를 쏟기보다는 그저 코스피지수에 투자하고 남은 시간을 알차게 보내는 것이 수익률도 좋고 인생에서도 더 유익할 거라고 말을 할 정도이다.

 

 실패하고 나서 무언가를 배워 다음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피드백 루프'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피드백 루프가 없다면, 아무리 시행을 많이 하고 경험을 쌓아도 성공 확률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나도 요즘엔 실패한 투자를 기록하고 문제점도 파악해 보려 하고 있다. 실패를 그냥 넘겨버리지 않고 인정하고 배움의 기회로 삼는 자세가 참 중요한 것 같다. 그래야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

 

 정갈하게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만 매매를 하여 쓸데없는 비용을 줄이고, 매매의 결과(좋건 나쁘건)에 따라 무언가를 배워서 원칙을 계속 가다듬어가면 됩니다.

 매매의 원칙은 세우되, 그 원칙은 반드시 가변적이어야 한다.

 

 내가 현재 이 금액을 100%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다면, 오늘 이 주식을 신규로 얼마나 매수할 것인가

 주식을 보유중일 때, 혹은 매수하거나 매도할 때 이 질문을 한번씩 해보자.

 책에서 말하는 '앵커링 이펙트'에서 벗어나기, 기준점 다시 찍기(보유하지 않고 있다는 가정으로 다시 생각해보기.)

 

 결과가 잘 나왔더라도 내가 잘한 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 결과를 평가할 때는 외부 요인(내가 통제할 수 없었던 요인)과 내부 요인(내가 통제할 수 있었던 요인)을 함께 봐야 합니다. 결과가 잘 나왔을 때는 '내가 잘해서'라고 하고, 잘못 나왔을 때는 '운이 없어서'라고 평가해서는 안됩니다.

 

 사전부검 : 어떤 계획을 짤 때 그 계획이 '망했다'라고 가정하고, 시체를 부검하듯 왜 망했을지 이유를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 보통은 답이 정해져 있고, 확증 편향에 따라 자신이 정해놓은 답을 지지해주는 근거만을 찾아내기 마련입니다. 만약 자신이 프로젝트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든다면, 일단 '실패했다'라고 상상해봅시다. 그러면 실패한 상황이 머릿속에서 '앵커'로 작용하고, 실패한 상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편향되게' 찾아내게 됩니다. ... 내가 가격이 오를 것으로 생각한다면 반대로 하락할 것이라고 답을 정해놓고 그 근거를 찾아보고,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생각한다면 상승했다고 일단 답을 정해놓고 그 근거를 찾아보는 방법이지요.

 나의 행동이나 감정에 대해 두뇌는 언제나 합리적인 이유를 만들어낸다고 한다. 이 확증 편향을 역으로 이용해보라는 이야기이다.

 

 가치평가의 구루인 어스워스 다모다란은 '거시경제 예측을 기반으로 하는 투자 전략만큼 나쁜 전략도 찾기 어렵다'라고 평합니다. ... 아쉽게도 마켓 타이밍을 추구하는 전략은 초과수익을 내기가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지배적입니다.

 가치투자를 할 때는 거시경제에 따라 사고 팔면 안된다는 의미.

 

 저는 마음이  흔들릴 때면 3분의 1을 매도합니다. 저에게는 일종의 매직 넘버입니다. 3분의 1을 매도하고 나면, 주가가 오르더라도 기존 수량의 절반 이상이 남기 때문에 수익을 충분히 누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3분의 1만큼은 높은 가격에서 팔았기 때문에 마음이 덜 아픕니다. 하하.

 

 아이디어에는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 매수 매도는 반드시 이 타임라인을 고려하여 실행하여야 합니다. 3개월 이내에 어떤 이벤트가 벌어질 것으로 생각해서 주식을 샀다면, 다음날 기분이 나쁘다는 이유로 주식을 팔아서는 안됩니다. 얼마 후 그 이벤트가 벌어졌고 주가가 올랐는데도, 왠지 좀더 갈 것 같다는 이유로 주식을 보유해서도 안됩니다. 그러고 싶다면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원점에서 다시 고민하여 보유한다면 보유하는 이유를, 매도한다면 매도하는 이유를 다시 작성해야 합니다.

 

 우리가 겪는 어떤 일도 완전히 새로운 것은 없지만, 완전히 똑같이 반복되는 경우도 없습니다.

 

  모두가 기대하고 있던 일, 즉 '이미 일어난 사실로 간주하고 있던 일'은 실제로 일어나봤자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역으로, 사람들의 기대와 어긋날 일이 발생해야 가격이 변동하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2021년 삼성전자가 역대급 영업이익을 계속 발표해도 주가가 오르지 않았던 사례.

 

 

 가격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은 '가격-가치 갭 모델'이 아니라 '제한적 합리성 모델'로 바꾸어야 합니다.

가격-가치 갭 모델 : 가격은 장기적으로는 가치에 수렴한다는 모델

제한적 합리성 모델 : 투자자는 각자의 환경에서 나름의 합리성을 가지고 투자를 한다.

 

 2019년 일본과의 무역분쟁 때 0.81배까지 내려갔고, 금융위기 때 최저점이 0.77배였습니다. 

코스피 PBR이 0.8배 정도까지 내려왔다면 장기적으로는 상승할 거라고 예상하고 배팅해도 될 것 같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VT(ETF) : 전세계 주식시장을 추종하는 ETF, 8300여개 종목으로 구성됨. 

 

 예측은 각자가 하는 것입니다. 다른 모든 사람의 수많은 예측은 그저 참고 자료일 뿐입니다. 그들의 예측을 따라갈 게 아니라, 그들 예측의 근거를 검토하고 자신만의 예측을 해야 합니다. 어차피 예측은 틀립니다. 자신만의 예측이 있어야 틀린 다음에 배울 점이 생깁니다.

 주식이든 뭐든 항상 복기를 하자. 그래야 발전이 있고 현재보다 조금 더 나아질 희망이 있다. 내가 이렇게 책을 읽고 난 후 기록하는 것도 복기를 하기 위함이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