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에 있던 국채ETF를 전량 매도하였다. 짧은 기간에 10%의 수익을 실현하기도 했고, 따져보니 ISA에서 국채ETF를 가지고있는게 실익이 없어보였다. ISA계좌에 대해 잘 모를 때 매수했던 종목이다. ISA계좌에서는 매도하였지만 채권에 대한 매수포지션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다른 계좌에는 채권ETF를 훨씬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 아직 팔 생각이 없다. 앞으로 ISA계좌에는 배당률이 높은 종목만을 담을 생각이다.
WTI유가가 80달러를 돌파했을 때부터 인버스를 조금씩 매수했다. 매수기간은 3~4개월 정도이다. 매수기간 동안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해서 중간에 유가가 뛰었다. 다시 80달러 아래로 내려왔지만 정세가 어찌 될지 알 수 없어 욕심부리지 않고 매도하였다. 이번에도 정말 소액만 먹고 나왔다. 전쟁이 발발하지 않았으면 조금 더 들고있었을텐데 전쟁상황에 따라 유가가 급등할 가능성도 있어 위험성을 안고 가지 않기 위해 전량 매도하였다. (매도하고 나서 유가는 더 내려온 상황이다) 유가 기반 선물 ETF는 역시 오래 가지고 갈 종목은 아닌 듯 하다. 유가가 80달러일 때 사서 90달러로 올랐다가 다시 80달러로 떨어질 경우에도 수익률은 0%가 아니라 1~2% 정도 손실이 나는 듯 하다. 80달러일 때부터 분할..
장기적으로 주가는 그 나라의 명목GDP를 추종하거나 약간 상회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과거 GDP와 KOSPI의 상관관계를 그려보면 코스피지수가 gdp를 장기적으로 추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명목GDP와 실질GDP란? 김영익교수님이 KOSPI를 명목GDP로 회귀분석하여 추정한 적정코스피와 실제 코스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등락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같은 추세로 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명목GDP는 네이버에 '명목GDP'를 검색해도 쉽게 찾을 수 있고, https://kosis.kr/index/index.do 에서 검색하면 과거 gdp수치를 자세히 찾아볼 수 있다. 2022 명목GDP가 2161조이고 2023 예상 GDP 성장률을 1.3%, 예상물가상승률을 1.2%라고 가정하면, 우리나라의 ..
금과 은을 올해 초부터 매주 꾸준히 매수중이고, 현재 금과 은 모두 10~15% 정도의 수익 중. 언제 팔아야 하는가 점검(20230501) 1. 실질금리(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 2022년 중반쯤에 최저점을 찍고 빠르게 회복중. 아직까지는 실질금리 마이너스. - CPI가 빠르게 하락중이니 올해 안에 플러스로 전환 예상. 2. 생산량 : 거의 비슷함. 대동소이함. 3. 주식 버블 붕괴 : 버블이 붕괴됐다고 봐야하나... S&P500지수가 2022년1월 정점을 찍고 하락하고 있으니 수퍼사이클 진입? 4. 금 대비 화폐 비율 : M2가 2022년 하반기부터 빠르게 하락중. 올해도 지속적으로 하락중. 결론 : 모르겠음 1번 4번은 금가격의 하락요인.(4번은 상승반전될 수 있음) 현재 각 나라에서 달러를 팔..
달러환율이 1300원을 넘어서면서부터 매입하기 시작했다. 평균단가는 1315원정도 됐던것같고, 환율이 1270원정도 왔을때 전량 매도했다. 보유기간은 5달정도였다. 보유기간동안 환율이 계속 올라서 불안하기도 했다.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달러인덱스가 하향추세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꾸준히 들고 갔다. 다행히 다시 1300원 밑으로 하락하였고, 애초에 단타로 접근한 것이기 때문에 큰욕심 부리지 않고 수익률 5% 수준에서 수익실현하였다. 2023.02.20 - [금융 경제/단타 매매기록] - 매매중 - 미국달러 인버스 단타
빨 경기수축국면 녹 경기확장 초기국면 파 경기확장 중기 노 경기확장 후기 현재는 경기수축국면이라고 보고있다. 10년물 국채는 경기확장 초기까지는 들고있어도 괜찮겠네. 경기확장 초기국면에 팔고, 하이일드채권이나 주식 중에 덜 오른 것으로 갈아타는 전략 괜찮을듯.
장단기금리차(10y-3m)가 역전되면 경기침체가 왔다(단 한번의 예외없이) 장단기금리차가 역전된 후 평균 9.1개월 후부터 경기침체가 시작되었다.(표준편차 3.7개월) 이번에는 2022년 10월말경부터 장단기금리차 역전됨. 경기침체가 임박했을 때 장단기금리차의 역전현상이 풀린다.(장기금리보다 단기금리가 더 빨리 내리기때문에) 그리고 4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시작된다. 경기침체의 3가지 징조 1. 부동산 침체(고점대비 20%이상 하락) 2. 은행 파산 3. 실업률 증가(실업률은 후행지표이기 때문에 가장 늦게 온다) 주가의 바닥은 경기침체 한가운데에서 찍힌다(단 한번의 예외도 없었음) - 경기침체 종료 약 4개월 전에.. 초록선이 미국 주가 파 첫번째 금리 인하 개시(경기침체가 예상되니 금리 인하하기 시작함)..
M : Momentum 성장 모멘텀이 있는가 V : Value 가치판단 P : Price 가격이 충분히 저렴한가 출처 : https://youtu.be/W5j6MZUSZoo
매수시작일 : 20230313 현재 평균매수가 : 34,500원 타이어가 성장산업은 아니지만, 전기차는 성장산업이므로 어느정도 라인을 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타이어는 OE시장과 RE 시장으로 나뉘는데, 전기차 생산은 타이어 입장에선 OE시장이고, OE가 판가가 높고 마진도 높다. 매출은 코로나때 저점을 찍고 꾸준하게 오르는 중이다. 전기차 수요증가 덕분에도 조금씩 오를 것 같다. 그동안 판매가는 지속적으로 올렸고, 원가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유가와 고무 가격이 하락 예상되어 마진은 점차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월봉상으로 120선과 60선 아래에 위치해 있어서 가격 메리트가 있다. PER, PBR이 역대급으로 낮은 수치이다. 가치주로 볼 수 있다. 재무제표는 어느것 하나 나무랄 것이 없을 정도로 좋다..